건축구조설계기준의 경험적 설계를 위한 횡력지지 건_2013.03.15

3,000

©2023 (주)비타민그룹. All Rights Reserved.
(구매일 기준 5일 이내 5회 다운가능, 다운로드 화면 1회 오픈 시 다운로드 1회로 간주, 자료출처는 국민신문고, 국토교통부, 국가기록원 등이며, 다운로드는 결제 후 뜨는 화면에서 내려받기 아래 제목 클릭하거나 결제 시 입력한 메일주소의 받은 메일함을 확인하거나 회원은 내 계정의 왼쪽 다운로드 확인)

■ 질의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1245호 건축구조설계기준에서(PDF 파일 406/769 페이지)
<표 0606.5.1> 경험적 설계를 위한 횡력지지는 시멘트 벽돌만 해당하는 사항인지?
아니면 속빈콘크리트블록도 해당하는 사항인지?

내력벽의 경우
표의 내용중에 속찬 또는 그라우트 충진 조적이라는 말이 있어 속빈 콘크리트 블록을 속찬 또는 그라우트 충진할 경우 내력벽체의 경우 두께의 20배까지 가능한 높이로 해석이 되는데

비내력벽의 경우
속빈 콘크리트 블록은 비내력벽 내부 높이의 경우 두께의 36배이므로 여기에 해당된다는 의견이 있고
36배 높이를 쌓을려면 실제는 어려우므로 철근 보강이 필요하여 보강콘크리트 블록으로 쌓을 경우에 36배가 가능하다는 의견이 있어 <표 0606.5.1> 경험적 설계를 위한 횡력지지 기준은 시멘트벽돌만 해당한다는 의견이 있어서 질의 합니다.

1개 이상 구매가능 상품입니다.

설명

■ 질의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1245호 건축구조설계기준에서(PDF 파일 406/769 페이지)
<표 0606.5.1> 경험적 설계를 위한 횡력지지는 시멘트 벽돌만 해당하는 사항인지?
아니면 속빈콘크리트블록도 해당하는 사항인지?

내력벽의 경우
표의 내용중에 속찬 또는 그라우트 충진 조적이라는 말이 있어 속빈 콘크리트 블록을 속찬 또는 그라우트 충진할 경우 내력벽체의 경우 두께의 20배까지 가능한 높이로 해석이 되는데

비내력벽의 경우
속빈 콘크리트 블록은 비내력벽 내부 높이의 경우 두께의 36배이므로 여기에 해당된다는 의견이 있고
36배 높이를 쌓을려면 실제는 어려우므로 철근 보강이 필요하여 보강콘크리트 블록으로 쌓을 경우에 36배가 가능하다는 의견이 있어 <표 0606.5.1> 경험적 설계를 위한 횡력지지 기준은 시멘트벽돌만 해당한다는 의견이 있어서 질의 합니다.

▣ 회신
속찬 벽돌과 속빈 블록을 적정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 속을 채워서 속찬 블록으로 만들면 두께의 20배까지 쌓을 수 있다는 것이며, 충진되지 않은 속빈 콘크리트 블록으로 내력벽을 쌓는 것은 인정하지 않으며, 비내력벽은 자중이외에는 하중을 받지 않는 벽을 의히합니다. 이러한 벽체는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조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와 기둥으로 둘러싸인 칸막이 벽 이외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런 벽체는 36배의 높이까지 가능하다는 의미이며, 보강콘크리트 블록벽체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이 있습니다.
상기 해석은 건축구조기준 관리기관인 대한건축학회의 회신 내용임을 알려드리며, 건축구조기준의 기술적 기준과 관련한 사항은 대한건축학회에 문의하시면 상세한 설명 들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관계 법령
건축구조기준
[시행 2009. 12. 29.]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245호, 2009. 12. 29., 일부개정]
제1장 총칙
0101일반사항
0101.1목적
이 건축구조기준(이하‘이 기준’)은 국토해양부장관의 승인아래 건축법 등의 관련규정에 따라 건축물 및 공작물의 구조체에 대한 설계,검사 및 실험,설계하중,재료별 설계방법,재료강도,제작 및 설치,품질관리 등의 기술적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건축물 및 공작물의 안전성,사용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을 그목적으로 한다.
0101.2규정내용
이 장에서는 이 기준의 적용범위,구성,용어의 정의,건축물의 중요도 분류,구조설계,각종 검사와 실험 및 구조재료의 성능검증,구조안전의 확인,책임구조기술자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다.
0101.3적용범위
건축법 등에 따라 건축하거나 대수선 및 유지·관리하는 건축물 및 공작물의 구조체와 부구조체,그리고 이들의 공사를 위한 가설구조물의 구조체는 이 기준에 따라야 한다.

0606.5측면지지
(1)조적벽은 <표 0606.5.1>에 주어진 간격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직,수평방향으로 횡지지를 확보하여야 한다.
– 표 생략 –
(2)수평적으로는 대린벽,붙임기둥 및 기타 골조 부재에 의해 수직적으로 바닥판 및 지붕에 의해 횡지지되어야 한다.
(3)파라펫벽을 제외한 캔틸레버벽에서 공칭두께에 대한 높이의 비는 속찬조적개체의 경우 6,속빈조적개체의 경우 4를 초과할 수 없다.
(4)중공벽의 높이/두께비 계산에서 두께는 내부벽겹과 외부벽겹의 공칭두께의 합으로 산정한다.조적개체와 모르타르의 등급이 다른 벽체들로 구성된 경우에는 가장 불리한조합에 허용된 높이/두께비 또는 길이/두께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건축법일타박사의 모든 저작물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를 받으므로 구매 후 사용바랍니다.
©2023 (주)비타민그룹. All Rights Reserved.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상품을 구매한 로그인 고객만 상품평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