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 질의
중공벽에 대한 해석에 대해서 질의합니다.
건축구조설계기준 개정안 kbc 2009의 PDF파일 406/769에서
0606.5측면지지
(4)중공벽의 높이/두께비 계산에서 두께는 내부벽겹과 외부벽겹의 공칭두께의 합으로
산정한다.조적개체와 모르타르의 등급이 다른 벽체들로 구성된 경우에는 가장 불리한
조합에 허용된 높이/두께비 또는 길이/두께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해석1. 이중벽으로 공간쌓기 벽을 뜻한다.
예) 조적벽+공간쌓기(단열재)+조적벽, 또는 조적벽+공간쌓기(단열재)+철근콘크리트벽
해석2.
콘크리트 블록 처럼 가운데 공간으로 비어 있는 조적벽을 지칭한다.
예) 콘크리트블록 살두께+공간+콘크리트블록 살두께
▣ 회신
중공벽이란 일반적으로 공간쌓기를 말하는 것으로 질의의 경우 1번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건축구조기준과 관련한 세부적인 사항은 동 기준 관리기관인 대한건축학회에 문의하시면 상세한 설명 들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 표 생략 –
2013.01.28_건축구조설계기준에서 중공벽에 대한 해석(첨부)
◎ 관계 법령
건축구조설계기준 개정안 kbc 2009의 PDF파일 406/769에서
0606.5측면지지
(1)조적벽은 <표 0606.5.1>에 주어진 간격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직,수평방향으로 횡
지지를 확보하여야 한다.
(2)수평적으로는 대린벽,붙임기둥 및 기타 골조 부재에 의해 수직적으로 바닥판 및 지붕에 의해 횡지지되어야 한다.
(3)파라펫벽을 제외한 캔틸레버벽에서 공칭두께에 대한 높이의 비는 속찬조적개체의 경우 6,속빈조적개체의 경우 4를 초과할 수 없다.
(4)중공벽의 높이/두께비 계산에서 두께는 내부벽겹과 외부벽겹의 공칭두께의 합으로 산정한다.조적개체와 모르타르의 등급이 다른 벽체들로 구성된 경우에는 가장 불리한 조합에 허용된 높이/두께비 또는 길이/두께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건축법일타박사의 모든 저작물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를 받으므로 구매 후 사용바랍니다.
©2023 (주)비타민그룹. All Rights Reserved.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