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성능위주설계 대상인 경우 소방구조용승강기(비상용승강기)의 최소 크기는 얼마_2023.07.26

3,000

©2023 (주)비타민그룹. All Rights Reserved.
(구매일 기준 5일 이내 5회 다운가능, 다운로드 화면 1회 오픈 시 다운로드 1회로 간주, 자료출처는 국민신문고, 국토교통부, 국가기록원 등이며, 다운로드는 결제 후 뜨는 화면에서 내려받기 아래 제목 클릭하거나 결제 시 입력한 메일주소의 받은 메일함을 확인하거나 회원은 내 계정의 왼쪽 다운로드 확인)

■ 질의
소방성능위주설계 대상인 경우
소방구조용 승강기인 비상용승강기 내부 유효바닥에 대해 2가지 내용이 서로 다른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경우 어떤 기준을 우선적용해야 하는지요?

승강기안전부품 안전기준 및 승강기 안전기준 17.1.3.1에는 “승강기 내부의 유효바닥면적은 폭 1.6 m 이상, 깊이 1.35 m 이상이어야 한다.”라고 되어 있고 개정 소방시설 등 성능위주설계 평가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47페이지에는 “비상용승강기 내부공간은 원활한 구급대 들것 이동을 위해 길이 220㎝ 이상, 폭 110㎝ 이상 크기로 하고,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통로는 환자용 들것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여유폭(회전반경) 확보할 것.” 이라고 되어 있어 서로 다른 크기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길이의 경우 220cm로 하더라도 폭의 경우 160cm와 110cm 중 어느 크기로 해야 하는지요?

1개 이상 구매가능 상품입니다.

설명

■ 질의
소방성능위주설계 대상인 경우
소방구조용 승강기인 비상용승강기 내부 유효바닥에 대해 2가지 내용이 서로 다른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경우 어떤 기준을 우선적용해야 하는지요?

승강기안전부품 안전기준 및 승강기 안전기준 17.1.3.1에는 “승강기 내부의 유효바닥면적은 폭 1.6 m 이상, 깊이 1.35 m 이상이어야 한다.”라고 되어 있고 개정 소방시설 등 성능위주설계 평가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47페이지에는 “비상용승강기 내부공간은 원활한 구급대 들것 이동을 위해 길이 220㎝ 이상, 폭 110㎝ 이상 크기로 하고,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통로는 환자용 들것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여유폭(회전반경) 확보할 것.” 이라고 되어 있어 서로 다른 크기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길이의 경우 220cm로 하더라도 폭의 경우 160cm와 110cm 중 어느 크기로 해야 하는지요?

▣ 회신1 2023-08-03 17:46:20
– 「승강기안전부품 안전기준 및 승강기 안전기준」[별표22] 17.2.3.3에 따라 소방구조용 승강기의 카 내부 크기는 폭 1,100 mm, 깊이 1,400 mm 이상이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으며, 환자용 들것 또는 침상의 이동을 위한 카 내부 크기는 별도 규정하지 않습니다.
– 이에, 길이 2200mm, 폭 1100mm 이상의 승강기는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길이 및 폭 기준에 적합함을 알려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동 기준 17.3.2.4에서 의료시설(침상 미사용 시설 제외)에 설치된 피난용 승강기의 경우에는 들것 또는 침상의 이동을 위해 출입문 폭 1,100 mm, 카 폭 1,200 mm, 카 깊이 2,300 mm 이상이어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 회신2 2023-08-29 09:31:37
○ 「승강기안전부품 안전기준 및 승강기 안전기준」 에서 제시하는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 크기는 폭 1,100 mm, 깊이 1,400 mm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 다만, 소방청 소방시설등 소방위주설계평가운영 표준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비상용 승강기를 겸용 할 시에는 두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길이 2,200mm , 폭 1,100mm 이상으로 설치 하는것이 바람직함을 알려드립니다.

▣ 회신3 2023-09-04 19:16:34
○ 승강기 안전관리법에서는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크기는 폭 1,100㎜, 깊이 1,400㎜, 출입구 유효 폭 80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행정안전부 승강기 안전관리법)와 비상용승강기(소방청 소방시설등 소방위주설계평가운영 표준가이드라인*) 겸용 시에는 두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길이 220㎝ 이상, 폭 110㎝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 관계 법령
승강기안전부품 안전기준 및 승강기 안전기준
[시행 2022. 3. 2.] [행정안전부고시 제2022-18호, 2022. 3. 2., 일부개정]
17.1.3. 카 및 출입문 크기
17.1.3.1 승강기 내부의 유효바닥면적은 폭 1.6 m 이상, 깊이 1.35 m 이상이어야 한다.

17.3.2 피난용 엘리베이터의 기본요건
17.3.2.4 피난용 엘리베이터의 카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가) 출입문의 유효 폭은 900㎜ 이상, 정격하중은 1,000㎏ 이상이어야 한다.
나) 다만, 의료시설(침상 미사용 시설 제외)의 경우에는 들것 또는 침상의 이동을 위해 출입문 폭 1,100㎜, 카 폭 1,200㎜, 카 깊이 2,300㎜ 이상이어야 한다.
비고 출입문 및 카는 사용되는 최대 침상의 출입, 이동이 가능한 크기 이상이어야 한다.

17.2.3.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기본요건
17.2.3.3 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의 크기는 KS B ISO 4190-1에 따라 630 ㎏의 정격하중을 갖는 폭 1,100 ㎜, 깊이 1,400 ㎜ 이상이어야 하며, 출입구 유효 폭은 800 ㎜ 이상이어야 한다.

2022.08.05 개정 소방시설 등 성능위주설계 평가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 47페이지
5-5 비상용(피난용)승강기 승강장 안전성능 확보
가. 비상용승강기 내부공간은 원활한 구급대 들것 이동을 위해 길이 220㎝ 이상, 폭 110㎝ 이상 크기로 하고,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통로는 환자용 들것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여유폭(회전반경) 확보할 것.

건축법일타박사의 모든 저작물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를 받으므로 구매 후 사용바랍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나요?
아직 건축법일타박사 유튜브 채널 구독을 안하셨다면 더 다양한 도움을 드릴 수가 없네요. 구독 감사합니다.
©2023 (주)비타민그룹. All Rights Reserved.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상품을 구매한 로그인 고객만 상품평을 남길 수 있습니다.